사설·칼럼 월드리포트

[월드리포트]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기대 거는 중국

조창원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2.23 17:39

수정 2018.02.23 17:39

[월드리포트]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기대 거는 중국

강원 평창 동계올림픽에 이어 4년 뒤인 2022년에는 중국에서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열린다. 지난 2008년 베이징하계올림픽에 이어 동계올림픽까지 개최하는 것이다. 10여년 전 열린 하계올림픽을 계기로 베이징은 인프라 발전과 세계적 위상을 올리는 데 톡톡한 효과를 봤다. 동계올림픽에도 이 같은 기대를 갖고 막대한 개발투자에 열을 올리고 있다.

2022년 동계올림픽은 베이징과 함께 허베이성의 장자커우시가 공동 개최지다. 동계올림픽 경기 특성상 장자커우시에서 스키관련 종목 등이 대거 열린다는 뜻이다.
전형적 농촌마을인 이 지역에 대한 막대한 인프라 투자가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대표적으로 베이징과 장자커우를 잇는 고속철 사업이 한창이다. 현재 두 곳의 소요시간은 3시간이지만 고속철이 뚫리면 1시간 내에 주파할 수 있다. 만리장성 밑에 지하터널을 뚫는 대역사가 진행 중이다.

중국의 수도인 베이징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공을 들이고 있는 경제특구 '슝안지구'와 동계올림픽 개최 지역 간의 연계 시너지를 내는 게 중국 정부의 도시개발 중장기 밑그림이다. 동계올림픽에 대한 관심과 저변 확대가 아직 부족한 중국에서는 이번 2022년 대회를 계기로 동계스포츠 활성화의 계기로 삼기 위해 아낌 없는 투자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선 동계올림픽 성공에 반신반의하는 분위기다. 이는 중국만의 고민이 아니라 평창동계올림픽을 포함해 모든 국제대회 개최지들의 공통된 고민사항이다. 막대한 투자를 단행한 뒤 대회 이후 운영방안이 바로 그것이다.

사정은 이렇다. 중국 내에선 장자커우가 동계올림픽 공동개최지로 선정된 것을 두고 지방정부들의 과열된 개발의욕의 한 단면이라고 지적한다. 지방경제 발전이 해당 지자체장들의 실력을 가늠하는 잣대가 되면서 우후죽순 개발 청사진을 쏟아내고 있다. 이 지역도 이 같은 과열경쟁 속에서 타이밍이 맞아떨어지면서 대규모 투자 프로젝트를 따낸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일각에선 중국의 대표적 동북도시인 하얼빈시야말로 동계올림픽 취지 면에서나 겨울 이벤트와 맞아떨어진다는 점에서 개최지로서 경쟁력이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 같은 우려는 최근 들어 심화되고 있는 중국 지방정부들의 부채 논란과도 맞물려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대규모 예산 투입과 부채 조달로 성장신화를 만들려 했던 중국의 지방 정부들이 이제 빚더미에 올라앉은 신세가 됐다면서 대표적 사례로 톈진시의 경제특구인 빈하이신구를 예로 들었다.

1980년대 광둥성 선전특구, 1990년대 상하이 푸둥신구에 이어 중국의 성장 엔진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며 '중국의 맨해튼'이란 별칭을 얻었던 빈하이신구는 최근 최악의 공실률로 도마에 올랐다.

톈진시는 최근 경제특구인 빈하이신구의 2016년 국내총생산(GDP)이 6654억위안(약 113조원)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발표했던 1조위안(약 170조원)의 GDP가 사실상 통계 조작이었다는 게 밝혀진 것이다. 빈하이신구는 2000㎢ 부지에 국제 금융지구와 자유무역지대, 대규모 상업지구를 조성해 2000억위안(약 34조원)의 투자를 유치한다는 야심 찬 목표를 세웠다. 2만여개 기업을 끌어들이는 목표를 세웠으나 세금감면 혜택을 노리며 사업자 등록만 늘었을 뿐 실제 사업활동은 썰렁하다. 경제성장 수치를 조작해 부풀리기 발표를 해오다가 나중에 부실 문제를 실토한 지자체가 한둘이 아니다.
개발신화를 외치면서 대규모 은행부채를 끌어들여 부지를 조성했다가 유령도시로 전락한 사례도 많다.

물론 베이징 동계올림픽은 사후운영을 위한 주변 환경이 유리한 데다 절대 권력인 시 주석의 관심 속에 진행된다는 점에서 경제활성화가 기대된다.
그럼에도 기존 올림픽 개최지들의 징크스를 면밀히 살펴 내실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

jjack3@fnnews.com 조창원 베이징 특파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