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외교/통일

北 문제 입 닫은 트럼프.. 이방카 와야 뜻 아나?

임광복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2.20 17:33

수정 2018.02.20 21:11

연일 통상압박에만 치중
참모 3인방은 '北 강공'.. 이방카 방한 메시지 주목
얘기 나누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강경화 외교부 장관(가운데)과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오른쪽)이 20일 낮 청와대에서 열린 한.슬로베니아 정상회담에 앞서 얘기를 나누고 있다. 왼쪽은 남관표 국가안보실 2차장. 연합뉴스
얘기 나누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강경화 외교부 장관(가운데)과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오른쪽)이 20일 낮 청와대에서 열린 한.슬로베니아 정상회담에 앞서 얘기를 나누고 있다. 왼쪽은 남관표 국가안보실 2차장.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의 남북정상회담 제안엔 침묵하면서 통상압박에 열을 올리고 있다. 최근 대북 메시지는 마이크 펜스 부통령 등 미 정부 참모들이 나서고, 트럼프 자신은 통상압박에 치중하고 있다.

23일께 방한하는 이방카 트럼프 백악관 선임고문도 3박4일간 일정에서 주한 미국대사관을 통해 탈북민과 만남을 조율하고 있어, 북한 인권을 압박하는 메시지를 내놓을 것으로보여 귀추가 주목된다.

우리 정부는 남북 고위급회담(1.9) 후속조치인 남북군사회담이나 남북정상회담 관련 특사 파견 등은 수면 아래에 놓고 급박한 통상압박 대응에 먼저 나서고 있다.


■트럼프, 참모들과 역할 분담?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이 특사 자격으로 문재인 대통령의 평양 초대장을 내놓은 지 열흘이 넘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트위터는 아직 침묵하고 있다.

그동안 트위터 등으로 다양한 대북 관련 메시지를 쏟아내던 것에 비하면 이례적이다.

최근 대북문제에 관해선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 허버트 맥매스터 미 국가안보보좌관 등 3인방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이들은 북한에 대해 '전쟁과 대화'가 다 준비돼 있다며 양면전략으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북한도 조선중앙통신 등 매체 등을 통해 미국과의 전쟁과 대화도 다 준비돼 있다며 연일 맞불이다.

반면 트럼프는 세탁기 .태양광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 철강 고율의 관세, GM 한국철수설 환영, 한·미 FTA 불공정거래 등을 강조하며 미국 국익에만 관심을 보이고 있다.

문 대통령도 안보와 통상을 분리하는 전략으로 세계무역기구(WTO) 제소와 한.미 FTA 위반 여부 검토를 지시하는 강수를 뒀다. 안보문제 해결에 걸림돌이 될까봐 미국의 통상압박 대응을 자제하던 기조에서 급선회한 것이다.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가 거세질 경우 성장률 저하, 실업문제 등 국내에도 비상등이 켜질 수 있다는 부담 때문이다.

■방한 이방카 메시지에 관심

하지만 이 같은 한.미 통상갈등은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북한과 해빙무드를 이어가야 할 우리 정부에 부담이다.

남북정상회담을 위한 산적한 문제를 해결하고 북.미 대화를 중재해야 할 상황에서 자칫 미국과의 공조에 불협화음을 초래할 수 있다.

트럼프는 안보이슈와 별개로 경제문제를 다룬다고 하지만 사업가 기질이 다분한 그가 언제 어떤 식으로 두 이슈를 연계하는 전략을 구사할지 알 수 없다.

이와 관련, 외교부 측은 "미국은 외교안보와 통상이슈를 구분해서 접근하는 것으로 관찰된다"며 "트럼프 대통령도 동맹관계와 통상문제는 분리하고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며 선을 그었다.

북한이 김여정을 통해 남북정상회담을 제안하는 파격을 보여줬듯이, 트럼프가 이방카를 통해 어떤 메시지를 전할지도 관건이다. 펜스 부통령이 평창올림픽 기간에 탈북자 등을 만났는데, 이방카도 탈북자를 만날 경우 북한 인권문제를 부각시키는 행보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우리 측은 문재인 대통령뿐 아니라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이방카의 예우에 나서 국빈급 의전을 할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는 이날 "이방카 보좌관은 평창동계올림픽 성공을 축하하고 한·미 동맹 의미를 부각시킬 것"이라며 "한·미 간 상호 관심사도 다양하게 논의될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평창올림픽 휴전이 끝나고 한·미 군사훈련, 북핵.미사일 실험 등 돌발상황이 불거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자칫 평창올림픽으로 쌓은 남북관계마저 다시 원점으로 되돌릴 수도 있어서다.


우리 정부가 평창올림픽 잔치 이후 북.미 신경전을 어떻게 조율해 대화를 확장시킬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lkbms@fnnews.com 임광복 기자 lkbms@fnnews.com 임광복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