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北 사이버테러 등 추가 도발 가능성"… 과기정통부, 긴급 간담회 개최

허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9.05 13:30

수정 2017.09.05 13:30

북한이 지난 3일 6차 핵실험을 감행한 가운데 사이버테러에 대한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북한은 핵실험 직후 잇따라 사이버공격을 자행한 사례가 여러차례여서 정부와 관련 기업들이 긴장하고 있는 것이다.

이번에도 핵실험 이후 사이버공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이에 정부는 민·관이 긴밀히 공조, 북한의 추가 도발을 무력화하겠다는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함께 5일 KISA 서초청사 회의실에서 주요 보안업체, 통신사업자 등이 참여한 가운데 사이버공격 대응태세 점검을 위한 긴급 간담회를 열어 북한발 사이버테러 대비태세를 점검했다고 밝혔다.

5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서초청사 회의실에서 정부 관계자와 주요 보안업체, 통신사업자 등이 모여 사이버공격 대응태세 점검을 위한 긴급 간담회를 열고 있다.<div id='ad_body2' class='ad_center'></div>
5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서초청사 회의실에서 정부 관계자와 주요 보안업체, 통신사업자 등이 모여 사이버공격 대응태세 점검을 위한 긴급 간담회를 열고 있다.
■민관 긴밀히 협력, 북한의 사이버테러 예방한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 3일 북한의 제6차 핵실험 후, 사이버테러 등 추가도발 가능성에 대비해 분야별 사이버위협 현황 및 대응태세를 점검하고 신속한 사이버 공격 대응을 위한 민관의 긴밀한 공조 및 협력을 당부하기 위해 마련됐다.

간담회에는 KT와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 등 통신사와 안랩, 하우리, 잉카인터넷 등 백신업체, 그리고 SK인포섹, 이글루시큐리티, 윈스, 시큐아이 등 보안관제 장비업체와 정보보호산업협회 등이 참여했다.

과기정통부 송정수 정보보호정책관은 "사이버위협이 고조되고 있으니 빈틈없는 대비태세를 갖춰 달라"며 "특히 공공기관·기업의 각종 보안서비스를 제공하는 백신 및 관제업체 등은 사이버공격 대응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므로 자체 보안관리 체계를 점검하는 한편, 비상한 경각심과 사명감을 갖고 유관기관과 적극적 정보공유 및 긴밀한 공조 대응태세를 유지해 달라"고 당부했다.

북한의 핵실험 이후 발생한 사이버 공격 사례
구분 사례
2차 핵실험(2009년 5월) 2009년 7월7일 대규모 디도스 공격
3차 핵실험(2013년 2월) 2013년 3월20일 금융사 및 언론사 전산장애 발생
4차 핵실험(2016년 1월) 2016년 1월 청와대 사칭 스미싱 e메일 발송
5차 핵실험(2016년 9월) 군 내부 전용 사이버망 해킹
6차 핵실험(2017년 9월3일)
■과거에도 핵실험 이후 사이버 공격 잇따라
실제로 북한은 핵실험 이후 연속적으로 사이버공격을 퍼부었다. 북한은 지난 2009년 5월 2차 핵실험 이후 2개월여 만에 7월7일 디도스(DDoS, 분산서비스거부) 공격으로 27만대의 PC를 감염시킨데 이어 청와대와 국회 등의 전산망도 마비시켰다.

지난 2013년 2월 이뤄진 3차 핵실험 이후에는 한달여 만에 금융사와 언론사 전산망을 공격하는 이른바 '3.20 사이버테러'가 발생했다.
지난해 1월 4차 핵실험 이후에는 청와대 등을 사칭한 스미싱 e메일이 대량 발송됐다. 같은 해 9월 5차 핵실험 이후에는 북한으로 추정되는 해커들에게 군 내부 전용 사이버망이 해킹당하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했다.


KISA 관계자는 "시기적으로 북한의 핵실험 이후 사이버 공격이 감행됐던 사례가 있기 때문에 사전에 정부와 민간 사업자들이 함께 사이버 공격을 예방하자는 차원에서 간담회를 진행했다"며 "핵실험 등 물리적 위협이 고조되면 사이버 공격 위험도 올라간다고 볼 수 있으며 이번 기회에 그동안 취약했던 부분을 다시 한번 돌아보자는 취지"라고 강조했다.

jjoony@fnnews.com 허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