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다음주 개막하는 ARF '3대' 관전 포인트

박소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8.04 16:18

수정 2017.08.04 16:18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리는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 관련 외교장관회의 참석을 위해 오는 5일 출국한다.

강 장관은 마닐라 도착 직후 아세안 국가들과 양자회담을 갖는 것을 시작으로 3박4일 간의 다자회의 일정에 들어간다. 6일에는 공식회의인 한-아세안 외교장관회의 외에도 다양한 주요국들과 양자회담 일정이 조율 중에 있다. 7일에는 아세안+3 외교장관회의와 동아시아정상회의(EAS) 회의,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회의가 연쇄 개최된다.

다양한 레벨의 회의가 돌아가지만 가장 큰 관심은 ARF에 모인다. '아세안의 잔치'이던 ARF가 우리에게 화두로 떠오른건 2000년 북한이 참가하면서다.
그 해 사상 첫 남북외교장관회담이 ARF에서 개최되면서 관심은 극에 달했다. 우리 외교가에 충격을 준 순간도 있다.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건 후 열린 2008년 ARF '의장성명'에 우리 정부 의견이 반영되지 않으면서 '외교 실패'라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이번 ARF는 북한이 미 본토를 겨냥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미사일 도발을 감행한 이후 처음 갖는 국제 행보로 남북 외교장관 회담을 비롯한 한미, 한중, 한일 및 미중, 중러, 북중 등 다양한 양자회담에 관심이 모인다.

최우선 관전 포인트는 강경화 장관의 '홀로서기'다. 강 장관은 지난 6월 말 취임 이후 한미정상회담,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등에서 대통령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하며 다자 무대를 경험했다. ARF는 그의 첫 단독 데뷔 무대로, 북한의 전략도발에 대해 주요국 및 아세안 국가들로부터 어떤 외교적 성과를 달성할지 주목된다. 남북외교장관 간 조우, 한미일과의 대북정책 조율, 의장성명에 우리 입장 반영 등 최근 불거진 '코리아패싱' 논란을 잠재우는 것이 최대 과제가 될 전망이다. 특히 북한이 우리가 제안한 군사당국회담과 적십자회담에 대해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남북 외교장관 간 대화에 기대와 관심이 모인다.

북한을 상대로 한미, 한미일이 어떤 공동의 전략을 강조할지도 관심이다. 한미 양국은 북한 도발을 규탄하면서도 '대화'를 강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ARF 직전 임명된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과 상견례와 한·미·일 3국 외교장관회담도 주목할만하다. 외교부 당국자는 "북한이 도발을 계속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것은 아세안 회원국들도 같은 입장"이라면서 "북핵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 나갈지에 대해서는 문 대통령의 '베를린 구상'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북한의 외교 행보도 관심이다. 전통적으로 북한은 ARF를 체제 선전의 장(場)으로 이용해왔다. 북한이 어느 국가와 만나 어떤 얘기를 할지, 다른 국가들은 어떤 메시지를 전할지가 주목된다.
북한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핵미사일 기술 고도화가 미국의 적대시 정책에 대응하는 자위적 수단이라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단 틸러슨 장관의 '대화' 발언으로 부각된 북미 접촉은 거의 없어보인다는 것이 복수 당국자들의 설명이다.
실제 미 국무부 당국자는 2일(현지시각)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이 리용호 북 외무상을 만날 계획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psy@fnnews.com 박소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