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칼럼 차관칼럼

[차관칼럼] 4차 산업혁명과 사이버 안전

김미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7.09 17:20

수정 2017.07.09 17:20

[차관칼럼] 4차 산업혁명과 사이버 안전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과학기술과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클라우드, 5G 그리고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초연결사회를 만들고 우리 사회에 새로운 희망과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술혁신과 산업 간 융합, 초연결만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할 수 있을까. 국민의 신뢰와 안전을 보장하지 않고는 새로운 시대를 열기 어려울 것이다. 국민이 불안해하는 4차 산업혁명은 사상누각에 불과할 뿐이다.

최근 사물인터넷(IoT) 기기의 취약점을 활용한 디도스 공격, 전 세계를 강타한 워너크라이, 페트야 같은 랜섬웨어 공격 사례에서 본 것처럼 사이버공격은 개인의 금전적 피해를 넘어 사회문제로 자리를 잡았다. 과거 PC, 홈페이지 대상의 해킹위협이 스마트카, 스마트팩토리, 스마트의료 등 4차 산업혁명 시대 융복합산업으로 확대되고 있다.
또 사이버 위협은 더 이상 개인이나 한 국가의 문제가 아니라 국제적 문제, 국가안보 문제로 확장되고 있다.

7월은 정보보호의 달이고, 오는 12일은 여섯 번째를 맞는 정보보호의 날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부처 공동으로 "정보보호, 4차 산업혁명의 기본"이라는 주제로 전 국민이 정보보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체감할 수 있도록 정책을 정비할 계획이다.

국민이 불안해하지 않는 것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가장 기본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미래부는 우선 자동화된 대규모 사이버 공격 등 새로운 위협에 대비해 사이버 위협 탐지 및 대응 체계를 지능형으로 고도화할 예정이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위협에 대비해 '지능정보사회 사이버보안 대응전략'을 마련할 예정이다.

또 국민이 체감하는 사이버 안전을 위해 사이버 보안 개념을 생활 속 정보통신기술(ICT) 안전으로 확대하는 정책도 마련해갈 계획이다.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랜섬웨어 외에도 통신망에 연결된 모든 기기가 사이버 공격의 대상이 되고 있는 만큼 스마트 기기, CCTV는 물론 자율자동차 등 우리 주변에 보안을 내재화하고 사이버 취약점을 상시 진단하고 예방을 강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정부는 정보보호 신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융합보안, 암호기술, 차세대 인증 등 정보보호 신산업을 육성하고 스타트업 지원을 확대해 기업의 해외진출로 신규 일자리 창출을 지원할 예정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정보보호 산업은 사회 전반의 안전을 담보하는 "ICT 안전산업"이자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경제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보안위협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능형 보안기술을 고도화하는 등 차세대 기술개발에 투자를 강화하는 것 역시 정부의 주요 계획이다. 또 전 세계 보안전문가 수요는 연평균 10% 이상 증가해 오는 2019년까지 150만명 이상의 인력 부족이 예상된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수요에 맞는 보안인재 1만명을 양성, 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공급할 계획이다.

아울러 정부는 기업의 정보보호 투자 확대를 위해 정보보호 공시제도를 활성화하고 공공분야 정보보호 서비스 제값받기 등 기업의 투자를 유도, 기업 스스로 정보보호를 강화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국민이 행복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만들기 위해서는 4차 산업혁명에 뒤따라오는 역기능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사이버 위협이 일상화되는 현실에서 국민 생활 속의 ICT 안전은 더 이상 정부와 전문가의 문제가 아니다.


정부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국민 모두가 초연결 사회에서 정보보호 기본을 지키고 함께 실천하는 문화가 정착돼야 할 것이다.

김용수 미래창조과학부 제2차관

fnSurvey